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 이즈 어프레이드
    영화 감상 2023. 8. 25. 16:56

    보 이즈 어프레이드 포스터

     이하의 내용에는 이즈 어프레이드의 전반적인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올해 기대작 하나였으나, 영화는 전반적으로 설명이 부족하고 불친절하다고까지 느껴지는 감이 없잖아 있습니다. 그래서 본격적인 영화 감상 전에 영화에서 다루는 편집성 인격장애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인터넷에서 전문가가 심리적,신체적 질병의 증상을 소개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심리적 증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이는 영화를 이해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나마 요새 번역기가 좋아져서원문 찾아 비교할 있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영화의 주인공 편집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편집성 인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dsm-5 따르면, 해당 장애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 기준 적어도 4개와 맞아야 합니다.

    1. 충분한 근거 없이 타인이 자신을 이용한다거나, 피해입히고 있다거나, 속이고 있다고 의심한다.

    2. 친구나 동료가 자신에게 보이는 충실함이나 신뢰에 대하여 아무 근거 없이 의심하는 것에 몰입한다.

    3. 정보가 악의적으로 이용될 것이라는 확실한 근거 없는 두려움 때문에 타인과 터놓고 이야기하는 것을 꺼린다.

    4. 친절한 말이나 긍정적인 사건에 숨겨진 비하나 위협이 있다고 해석한다.

    5. 지속적으로 원한을 품는다(: 모욕, 상해, 무시를 용서하지 않는다).

    6. 제삼자에게는 그렇지 않는 것을 자신의 성격이나 평판에 대한 공격으로 인지하여 곧바로 화내거나 반격한다.

    7. 배우자나 파트너의 정조를 타당한 이유 없이 반복적으로 의심한다.

     

     영화에서 묘사하는 모습과 비교해 보면 일치하는 서술도 있고 아닌 같은 서술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편집성 인격장애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감독이 묘사하는 모습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정신병 치료에 중요한 하나는 주위의 지지와 지원이라고 있겠습니다만, ‘ 주변에는 오히려 악화를 시키는정신과 의사 엄마에 대한의존뿐입니다.

     그로 인한 기억의왜곡 잘못된 치료의부작용 환각이나 환상으로 현현하는 합니다.

     

      이미 중년의 나이인 보이지만 여전히엄마에게 가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일견 부담감’, ‘압박감 영화의 전부인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압박감은 실로 대단한지 보는엄마 부고 소식을 들었음에도, 보는 엄마에게가고 싶지 않은모습마저 보입니다.

     

     엄마 만나기 위해 여행준비를 하는 보에게 닥치는 모든 시련과 부조리는 정말외부에서 일어난 일일까요. 아니면 보의진심 무의식중에 행한 일일까요.

     

     결국 보는 출발하기도 전에 교통사고를 당해 크다면 부상을 입습니다. 다행히도 사고를 부부가 의사라서 보는 적절한외과적치료를 받은 모양입니다. 그런데 보가 쉬고 있는 방은 의사 부부의 딸의 방이었습니다.

     

     ‘10 소녀 방을 점유한 . 소녀 상당한 반항기로 보입니다. 자신의 방까지 빼앗기고 부모님의 관심도 모두에게 쏠린 하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입니다만.

     

     거기에 의사부부는 입양하는 것도 고려합니다. 결국 중년의 남성이입양되는 것에 적대감을 느끼는 소녀는 스스로망가지는것을 택합니다.

     

      비현실적인 전개 속에서 그나마 현실성이 있을 부분을 찾아보자면 보의엄마 상당한 재벌이었다는경제적이유가 있겠습니다. 

     

     영화의 중반도 되지 않았지만 어디까지가 보의 정신병적 망상이고, 어디까지가 약간의 왜곡이 섞인 현실이고, 어디까지가 영화에서 설정한 현실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없을 지경이 되고 맙니다. (감독은 가지사실 흔들림 없이사실임을 강조하기 위해 끊임없이 강조합니다.)

     

     ‘ 소녀의 자살 -자살일까요?- 인해 의사부부의 집에서 지내기가 곤란해져탈출 감행하여 숲으로 도망칩니다.

     

     감독은 유랑극단의 공연인애니메이션에서 그동안 부족했던 설명을 번에 쏟아내려는 처럼 보입니다.

     

     숲속의 유랑극단의공연에서 나오듯이 여자를 어떻게 만났는지는 중요하지 않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보의 여정이라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보는 숲속에서의 유혈사태를 겪고 나서야비로소’ ‘엄마 저택으로 도착할 있었습니다.

     

     어렸을  만났던여자친구에 대한 회상’, ‘섹스’, ‘복상사’, ‘뭔가 이상한 장례식장까지이쯤 되면 뿐만 아니라 관객도 생각이 많아지기 시작합니다.

     

     보는 기억속의 여자친구를현재’, ‘엄마의 저택에서 만나 관계를 가집니다. ‘심장문제로 인한 복상사를 감안하고서요. 하지만 실제로 복상사한 것은 보가 아닌 여자친구였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죽지 않은 보의엄마 극에 등장합니다.

     

     유년시절에 감당할수 없는 충격적인 사건을 겪게 되면 충격적인 기억을 무의식속에 밀어넣어 없애버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고 합니다. 보의 기억도 그러한 측면이 있습니다.

     

     다만 어디까지가 엄마의 학대로일어났던일인지, 어디까지가 정신병리학적 측면에서 때에 발생한왜곡억압인지 경계를 나누는 것은 상당히 쉽지 않아 보입니다.

     

     또한 옥상에 끌려가는 지켜보는 희미하게 생겨난 것처럼 보이는데, 엄마에게 학대받는 것을 견딜 없어서 보가 다른인격 만들어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장면만 가지고는 보가해리성 장애’, ‘다중인격이라고 보기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언급되는 유년시절의 억압된 기억과 성적으로 좌절된 -엄마의 의도아래- 보의 트라우마는 모두엄마 말을 듣게 하기 위한 밑작업으로 보입니다.

     

     유년시절의 학대 기억과 성적 억압, 잘못된 심리치료와 잘못된 약물치료, 어디까지가엄마 계획이고 어디까지가 보의 망상일까요.

     

      경계에 대한 설명도 사실 초반에 나옵니다. 보는 가게에 가서 정중하게 물건을 사려고 합니다. 그런데 가게 주인은 보가 이렇게 거친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말좀 곱게 하라고 응대합니다.

     

      자신이 하는 (또는 한다고 생각하는 ) 실제로 일어나는 것과 받아들이는 사람의 반응(망상이 아니라는 보장 또한 없으므로) 일치하지 않을 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해당 사항을 고려하고 보의 여정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숲속의 여자를 만나는 경로는 중요하지 않다.- 감상하고 나서도 여전히퍼즐 전부 맞춰지지는 않는듯이 보입니다.

     

     보를 돌봐주는 의사 가족의 속셈은 상속받을 막대한 재산일까요? 처음부터 재산을 노리고 접근했다고 봐야 할까요. 또한 의사 가족의 딸이 보에게 쏘아붙인보의 속셈이란 무엇일까요. 속셈이라는 것이 하고 털어놓은 보의 기저심리일까요?

     

      모든 물음은 적당히 얼버무릴 수도 있고, 영화의 장면들을 엮어 설명할 수도 있으며 몇몇 심리학 이론을 검색해 끼워 맞출 수도 있는 보입니다. 거기에 영화 특유의 꼬아놓은 연출이 더욱 이해를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일부는 영화적 기법으로 일부는 심리학적 기법으로 일부는 자체의 동력으로 기워진 영화는 대중적이라고 하기는 조금 어려울 합니다.

     

     특히 같은 경우는 굳이 따지자면 영화가 취향에 맞는 편인데도 좋은 평가를 내리기에는 영화의 설명의 양과 질이 모두 부족했다고 느낍니다.

     

     우스갯소리로 소위그게 뭔데 십덕아라고 정도는 아니지만 상영시간이 부족한 감이 있어 보입니다. 감독이 설명을 하다가 급히 끊은 느낌이랄까요.

     

     4시간짜리 감독판이 있다고 하는 소문이 있는데 만약 있다면 버전을 보고 싶은 마음입니다.

     

     영화 종반에 보트를 타고 나가서 그동안 아니 영화 상영시간동안 아니 그의 일생동안 겪었던 일에 대한심판 받습니다. 심판을 재촉하는엄마 누구이고 그를변호하는 변호사는 누구일까요. 끝까지 명쾌하게 잘라 말할 있는 것은 많지 않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말부에서 뒤집어진 배는 느낌이 있습니다. 좋다고 하려니 조금 어감이 이상하지만 적절한 결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감상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신

      치료용약물의 의미에 대해 적으려 하다가 전문가가 지나치게 전문적인 영역을 (영화 내용이라고는 하지만) 서술하는 같아 내용을 대폭 수정하였습니다.

     

     또한 본문의 심리학적 특성에 대한 서술은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간략한 배경지식 정도의 수준이며, 전문적이지 않음을 밝힙니다. 본문의 모든 심리학적 분석은 전문적이지 않으며 실제 사례에서는 다르거나 오류가 있을 있음을 밝힙니다.

     

    사이트 링크 참고문헌 / 번역 - 구글,애플번역.

     

    권석만(2016). 이상심리학 총론_이상심리와 정신장애의 이해. 서울: 학지사.

     

    미셸 옹프레, 프로이트 비판적 평전 우상의 추락, 전혜영 . 경기:글항아리, 2013.

     

    https://www.theravive.com/therapedia/paranoid-personality-disorder-dsm--5-301.0-(f60.0)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DSM-5 301.0 (F60.0) - Therapedia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DSM-5 301.0 (F60.0) DSM-5 Category: Personality Disorders Introduction PP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is a DSM-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iagnosis assigned to individuals wh

    www.theravive.com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ition). Washington, DC.

     

    Lenzenweger MF, Lane MC, Loranger AW, Kessler RC. 2007. DSM-IV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Biological Psychiatry, 62(6), 553-56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T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2).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